전체 글 85

화장품 관련 용어 정리 한글 중문 영어

일상 화장품 용어를 한글 중문 영어로 대조해서 정리 했습니다. 개인적인 정리로 좋은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어중국어영어영어 발음화장품化妆品Cosmetics[kɑzˈmɛtɪks]스킨케어护肤品 (hù fū pǐn)Skincare Products[ˈskɪnˌkɛr ˈprɑdəkts]기초 화장품基础化妆品Basic Cosmetics[ˈbeɪsɪk kɑzˈmɛtɪks]색조 화장품彩妆品 (cǎi zhuāng pǐn)Color Cosmetics[ˈkʌlər kɑzˈmɛtɪks]로션乳液 (rǔ yè)Lotion[ˈloʊʃən]크림面霜 (miàn shuāng)Cream[kriːm]토너爽肤水 (shuǎng fū shuǐ)Toner[ˈtoʊnər]에센스精华液 (jīng huá yè)Essence/Serum[ˈɛsəns/..

마음이 얼굴을 만든다 - 한국인의 '미(美)' 문화와 현대적 미의식

'마음이 얼굴을 만든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내면, 즉 생각과 마음가짐이 얼굴과 분위기에 그대로 드러난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오늘날 사회가 미(美)를 바라보는 시선과도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한국은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매우 강한 나라입니다. 화장품, 피부 관리, 성형과 같은 뷰티 산업이 세계적으로 유명할 정도로 발전했고, 사람들 역시 외모를 가꾸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하지만 한국인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겉모습을 꾸미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외모가 개인의 자신감과 사회적 경쟁력으로 연결된다는 생각이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최근 들어 우리 주변에 미남 미녀가 많아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물론 기술의 발전과 생활 수준의 향상이..

한성에서 서울, PEKING에서 BEIJING 한중 수도 이름 변경의 원인

예로부터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정체성을 담고 있는 중요한 상징이었다. 중국의 'PEKING'에서 한국인에게 익숙한 '북경(北京)'으로, 조선의 '한성(漢城)'에서 오늘날의 '서울'로 명칭이 변화한 데는 역사와 문화적 맥락이 얽혀 있다.중국의 수도 베이징은 서구에서는 오랫동안 'PEKING'으로 불렸다. 이는 17~18세기 유럽의 선교사들이 당시 중국 북방 방언의 발음을 로마자로 기록하면서 생겨난 표기였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중국이 본격적으로 국제사회와 소통을 확대하며 스스로 표준 중국어인 푸퉁화(普通话)를 국제 표기의 기준으로 삼으면서 '베이징(Beijing)'이라는 표기를 공식적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중국 수도를 한자 발음 그대로..

한국인의 얼음물 VS 중국인의 따뜻한 물(뜨거운 물)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한국인은 얼음물을 선호하는 반면, 중국인은 따뜻한 물이나 뜨거운 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개인 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배경, 의학적 관점, 생활 방식, 환경 요인 등 깊은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된다. 이번 글에서는 문화, 역사, 의학 및 현대 사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이를 비교하고 분석해 보겠다.🔍 1. 역사와 문화적 배경 비교🔹 한국 문화: 현대화와 서구 문화의 영향한국에서 얼음물을 마시는 습관은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것으로, 서구 음식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20세기 후반 한국이 빠르게 현대화되면서 맥도날드, 스타벅스 같은 서구식 프랜차이즈가 들어와 기본 음료로 차가운 물을 제공했다.한국 음식은 대부분 맵고 뜨겁다 (예: 김치찌개, 떡볶이, 부..

군대문화가 기업문화에 대한 영향 한국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흥미로운 주제를 준비했습니다. 바로 한국 사회와 직장 문화가 왜 군대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성인 남성이 약 2년간의 군 복무를 하게 됩니다. 군대 생활 동안 남성들은 신체적인 단련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요. 특히 엄격한 상하 관계와 명확한 위계질서를 중요시하는 문화가 깊게 뿌리내립니다.군 복무를 마친 젊은이들이 사회생활을 시작할 때 자연스럽게 이러한 군대 문화를 직장에까지 가져오게 됩니다. 기업 내부에서는 상하 관계를 강조하고, 직급이 높은 사람의 지시를 절대적으로 따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기업은 집단주의 정신을 중요하게 여기며, 개인의 성과보다는 팀의 성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합..